수림아트랩 신작지원

Artist Interview
_서성협, 권태현

예술가 인터뷰

수림아트랩 신작지원 2023 : 시각예술 분야
_ 예술가 서성협, 기획자 권태현

제가 작품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결국 “우리 모두 혼종일 수 있고, ‘민족’이나 ‘우리’라는 상상된 공동체, 즉 순종으로 분류되는 것을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증명 받으려는 것은 아닐까?”입니다. 그래서 ‘순종’이라는 것이 어쩌면 구성된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에서 저의 작업이 시작되었습
니다.

- 예술가 서성협 인터뷰 중
  • 내용

    이번 전시의 감상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서성협
    전시의 주제가 혼종인 만큼 객체의 변용과 혼합을 찾고, 작품에 새겨진 도상들의 원본을 발견하면서 구성된 이미지의 서사를 상상하면 보다 흥미롭게 전시를 관람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권태현
    똑같은 형태의 작업들이 전시장의 환경에서 어떻게 다른 위상의 사물이 되는지 파악하면서 보시면 더 흥미로운 감상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수림아트랩>의 키워드는 '실험'과 '도전'입니다. 기존의 작품 활동과 비교했을 때 이번 전시에서의 실험과 도전은 무엇이었나요?
    서성협
    김희수 아트센터 갤러리를 개인전의 공간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신진 작가에게는 큰 도전이었습니다. 또한 기존 작품이 사운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신작들은 보다 시각 매체에 집중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 개인에게는 <수림아트랩> 자체가 큰 실험의 무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권태현
    전시 공간의 형태가 특이하여 공간을 읽어내고 기획적 의도에 맞도록 조성하는 과정 자체가 도전이었습니다. 쉽지 않았지만 서성협 작가님과 함께 즐겁게 해쳐나갈 수 있었습니다
    이번 작품들에서는 다양한 동서양의 그림과 언어가 눈에 띕니다. 특히 <기념비 1>, <기념비 2>는 그림과 텍스트가 대비되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그 안에 담긴 스토리나 작가님의 메시지가 궁금합니다.
    서성협
    <기념비 #01>에 새겨진 문자는 동, 서양의 문화가 개인적 차원에서 충돌하며 생긴 에피소드들을 폴란드어로 번역한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기념비에 새겨지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사적인 미시사건을 기념비라는 장소에 새기는 행위를 통해서 구성된 역사를 조명하고 사건의 위상변화를 시도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을 하고 나서, 기념비에 문자가 아닌 이미지로 채워진다면 보다 극적일 것이라고 생각했고, <수림아트랩>의 지원으로 <기념비 #02>를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신작 기념비에 채워진 이미지들은 동, 서양의 삽화 또는 백과사전의 도판, 타투에 사용되는 도상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미지 구성은 특정 사건의 서사 구조가 아니라 무작위적인 나타남을 의미하는데, 마치 몸에 새기는 타투처럼 존재의 드러냄과 같습니다.
    <어떤 이어짐>이라는 작품과 혼종이라는 단어와는 어떤 연결점을 갖고 있나요?
    서성협
    사실 <어떤 이어짐>에서 이어짐은 연대를 의미하는데, <기념비> 연작에서 사용한 테트라포트를 작게 만들어서 실제 방파제처럼 설치한 작품입니다. <기념비> 연작이 사건의 완결 혹은 드러냄이라면 <어떤 이어짐>에서는 혼종의 연대를 통해서 사건화 혹은 존재화되는 과정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혼종을 주제로 작업을 이어오고 계신데요. 사람은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안정감을 얻기 위해 나만의 순수를 지키려는 것 같습니다.
    서성협
    제가 작품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결국 “우리 모두 혼종일 수 있고, ‘민족’이나 ‘우리’라는 상상된 공동체, 즉 순종으로 분류되는 것을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증명 받으려는 것은 아닐까?”입니다. 그래서 ‘순종’이라는 것이 어쩌면 구성된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에서 저의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저의 작품에서 전통이라는 유물적 매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지점 또한 같은 맥락에서 전통 매체의 변용을 통해서 그 허구성을 드러내려는 일종의 전략입니다.
    전시 서문에 '타자들과 교류는 많아졌지만 편견은 계속 더 강해지기만 했다'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편견을 반대하는 목소리는 많지만, 실질적으로 변화가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권태현
    애석하게도 타자에 대한 혐오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근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급진적으로 우리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질서들을 성찰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기획자로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나 전시 기획을 하면서 얻은 뿌듯함 또는 성취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권태현
    큐레이터로서 기존의 작업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빛나게 하는 것도 좋지만, 전시를 통해 작업을 한 작가도 모르고 있던 새로운 맥락과 의미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일이 즐겁습니다.
    앞으로의 작업(활동) 방향은 어떻게 되시나요?
    서성협
    <수림아트랩>에서 선보인 <도판> 연작을 보다 심화하는 작업을 할 계획입니다. 도판의 구성과 스텐실, 부조의 조합을 보다 실험적으로 탐구하고, 기존에 사용했던 사운드 매체와도 연결시키는 매체를 연구하고 싶습니다.
    권태현
    한번의 전시로 끝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장기 연구를 기반으로 한 연작 전시를 기획해 보려고 합니다.
     
    관련게시글